[지식창고]/운영체제

[운영체제/OS] OS를 위한 컴퓨터구조 기초1. 컴퓨터 시스템 기본 구조

개발새발주발 2023. 3. 22. 22:42
728x90

OS를 수강하게 되었다. 

하지만 ..컴퓨터 구조, 시스템 프로그래밍 등 여러 선수과목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보충하여 학습을 해보려고 한다 ~ 

OS를 공부하기 위한 공부를 하는 것이니 최대한 핵심적이고 중요한 부분만 정리해보려고 한다 ! 

 

컴퓨터의 역사 및 발전 

컴퓨터를 배우기 전 어떻게 발전되어왔는지 알면 조금 더 재미있게 배울 수 있지 않을까라는 마음에 간단히 써본다

 

컴퓨터는  수학적 연산을 매우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발전되어왔다. 

특히 미사일 탄도 계산을 위해 1946년, 애니악이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연산에 따라 정해진 하드웨어 배선이 있었기에 불편함이 있었기에 하드웨어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컴퓨터에게 명령을 주입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하게 되었고 .. ! 

 

1951년에 나온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 ! 폰 노이만 아키텍쳐가 이때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후 SW방식을 통해 엄청난 성장을 이룬 컴퓨터는 현재 스마트폰까지 발명되었다는 것 !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 

개인용 컴퓨터 다수 명령어 실행 유니트 포함하는 슈퍼스칼라 구조로 발전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용량의 증가로 멀티미디어 PC로 발전 
임베디드 컴퓨터 각종 기계장치나 전자 장치들 내부에 포함되어있는 장치 
프로세서, 기억장치, I/O인터페이스 회로를 모두 하나의 칩에 집적
ex. 각종 가전제품, 컴퓨터 주변기기, 이동 전화기, 비디오 게임기, 자동차
중형급 컴퓨터 64비트 CPU 탑재, 고속 그래픽 처리 가능한 워크스테이션 (Unix기반)
다중 푸로세서 시스템 기반의 슈퍼 미니컴퓨터 (20개 이상 프로세서 포함)
3D동영상, 시뮬레이션, CAD, 다운사이징, 인터넷 웹 서버등에 활용
메인 프레임 IBM이 개발한 360,370,3081,3090 등 시리즈
대용략 저장장치, 다중 I/O 채널 이용 고속 I/O 처리 능력
최근에는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에 은행,기업에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저장 및 관리 용으로 사용
슈퍼 컴퓨터 슈퍼파워를 가진 컴퓨터 
항공우주공학, 인공지능 등 대규모 과학 계산/ 시뮬레이션에 사용
파이프라인 슈퍼컴퓨터, 대규모 병렬 컴퓨터, 클러스터 컴퓨터로 구분 

** 오늘날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 !

기업에서 위의 컴퓨터를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컴퓨터를 가진 클라우드 사업자와 계약을 해서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컴퓨팅 파워를 필요한 만큼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화함 

 

OS 

그래서 우리가 이제 배울 OS가 무엇인데 이렇게 컴퓨터 구조랑 시스템 등 여러 선수과목이 필요한가 ?! 

 

OS(운영체제)에서 결국 추구하는 바는 효율성과 편리성이다! 

컴퓨터 사용자 -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이다. 컴퓨터 자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조율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차차 배워나갈 내용을 그려보았다. 

 

컴퓨터 구조 기본 사항이 끝나고 OS를 본격적으로 다루면서 OS 개념에 대한 내용도 자세히 적어보도록 하겠다.

 


[참고 및 출처]

https://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384

인프런 「비전공자를 위한 컴퓨터 구조 및 OS개론」

한국항공대학교 컴퓨터 운영체제 강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