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한국항공대학교 최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를 수강하며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
1.2 Network Edge
*잊지말자
bandwidth - 대역폭
network edge - 호스트
<A closer look at network structure>
- network edge :
- hosts : 클라이언트와 서버 !
- access networks, physical media : 무선, 유선 연결 링크
- network core :
- Router들의 연결
- 네트워크끼리의 상호구성 -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Access networks and physical media >
Q. end system과 edge router를 연결시키는 방법
- 주거용 접속망 (residential access nets)
- 기관용 접속망 (institutional access networks (school, company))
- 모바일용 접속망 ( mobile access networks)
< Access net >
- DSL
- 지역 전화망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기술
-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여 중앙 DSLAM office에 연결
- upstream은 downstream에 비해 속도가 작다 = 대역폭(bandwidht)이 더 작다
- *** ADSL : Asymmetric DSL
- → 데이터가 인터넷으로 연결
- : Digital Subscriber Line - 디지털 가집자 회선 , 전화 라인
Access Network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케이블 TV서비스 제공
케이블 모뎀 :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
f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 주파수로 나눈 다중화
- Cable network
-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 HFC (Hybrid Fiber Coax) - 광섬유와 동축 케이블이 함께 사용 !
- asymmetric : 최대 30Mbps 다운스트림 전송 속도, 2Mbps 업스트림 전송 속도
- ISP 라우터에 홈을 연결하는 케이블, 광섬유의 네트워크
- home 공유 케이블 전파 준계소 액세스 네트워크
- DSL이 central office에 dedicated access하는 것과 다르다.
- Home network
<Ethernet : Enterprise access networks>
*** 이더넷이란 ?
이더넷은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을 말함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
- 전형적으로 회사, 대학에서 사용된다.
- 10 Mbps, 100 Mbps, 1Gbps, 10Gbps 전송률 !
- 오늘날 end system에서 보통 이더넷 스위치에 연결한다.
*** End-System 1-1에서 배웠던 표현이다. 종단 시스템 즉,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인 호스트를 의미한다.
<Wireless access networks>
- 공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end-system을 Router에 연결한다
- wire access → up-link, down-link 동시에 가능
- wireless access에서는 한번에 up-link, down-link 둘 중 하나만 가능
*** LAN : Local Area Network
*** 1000ft = 약 30 m
<Host : sends packets of data>
host sending function (호스트 전송 기능) :
- application message를 받음
- 받은 메세지를 chunks( 패킷, packets ) - L bits 길이로 쪼갬
- 전송률 R로 접속 네트워크에 packet을 보냄
- 전송률 - transmisson rate = link capacity = link bandwidth
** 패킷(packet) : 정보 기술에서 패킷 방식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
데이터를 보낸다 = 잘게 쪼갠 것을 보낸다 = 패킷을 보낸다 !
전송시간 - 한 패킷을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 지연 발생
<Physical media>
: 데이터 통신에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물질
- bit : 송신기/수신기 쌍(transmitter/ receiver pairs )사이에서 전파
- physical link :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놓여있는 것
- guided media : 유선 - 구리(copper), 섬유(fiber), coax 등 insolid media( 견고하자 못한 매체 )를 전파하는 신호
- unguided media : 무선 - 자유롭게 전파하는 신호 ( radio )
- twisted pair(TP) : 절연 구리 2개 - 외부로부터 오는 전자파 장애를 억제
Coaxial Cable : 동축 케이블
- 두 개의 동심원 구리 도체
- 양방향 (bidirectional)
- broadband(광대역)
- 케이블의 여러 채널
- HFC(Hybrid Fiber/Coax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유선방송 및 인터넷을 제공하는 서비스) → 앞서 보았던 것이다 !
Fiber optic Cable : 유리 섬유
- 각 pulse가 약간씩 빛 pulse를 전달하는 유리 섬유
- 고속 작동 (high-speed operation)
- error rate 낮음
- 중계기가 멀리 떨어져있음
- 전자기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음
Radio :
- 전자파 스펙트럼으로 전달되는 신호
- 물리적 ‘wire’ 없음
- 양방향 (bidirectional)
- 전파 환경 영향 - 반사, 물체에 의한 방해, 방해(interference)
- Radio 연결 타입 :
- Terrestrial microwave ( 마이크로파 ) → ex. 45Mbps 채널
- LAN(예 : WiFi) → 11Mbps, 54Mbps, 300Mbps
- wide- area (ex. cellular)→ 4G LTE, LTE-adv : 75, 150, 300Mbps
- → 3G cellular : ~ few Mbps
- satelite
- Kbps to Mbps channel
- 270 msec end-end delay
- geosynchronous versus low altitude (지리적 동기화 대 저고도)
'[지식창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컴퓨터 네트워크 ] 2.1 network of application 원리 (0) | 2023.03.20 |
---|---|
[ 컴퓨터 네트워크 ] 1.5 - 1.7 Protocol Layer개요 및 보안 (0) | 2023.03.19 |
[ 컴퓨터 네트워크 ] 1.4 Delay, Loss, Throughput (1) | 2023.03.18 |
[ 컴퓨터 네트워크 ] 1.3 Network core (0) | 2023.03.11 |
[ 컴퓨터 네트워크 ] Chapter 1 -1 인터넷이란 ?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