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rseWork 50

[Linux] 맥에서 리눅스 맛보기

Q. Linux도, macOS도 같은 UNIX계열인데 얼마나 동일한지 UNIX 계열 OS 중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것이 Linux(리눅스)이다. 그런데 맥은 FreeBSD(Berkelry Software Distrubution)계열,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 확장판이다. 모두 유닉스 기반이지만 친척정도 된다. 조상이 UNIX로 같지만 형제까지는 아닌 친척 정도 ! 프로그램을 소스 레벨에서 개발한다면 비슷한 면이 있지만, 결국 독립된 부분이 존재한다. (이 부분은 맥, Linux를 각각 배우며 알아가보도록 하자..) 그럼 이제 맥에서 Linux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해보자. 1. 맥에서 리눅스 명령어 사용해보기 (맛보기용) macOS는 UNIX 기반, 즉 리눅스와 가까운 사이라 기본 터미널에서는 리..

과잉 결정 시스템; Overdetermined system

교재에서 나오는 문장이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This example shows how overdetermined systems are often encountered in various kinds of curve fitting to experimental data. A quantity y is measured at several different values of time t to produce the following observations. You can enter the data and view it in a table with the following statements. 더보기이 예제는 과잉결정 시스템이 실험 데이터에서 어떻게 다양한 곡선 함수를 찾는지 방법을 보여준다. 어떤 양 y를..

크기를 정의하는 Norm을 쓰는 이유

매트랩에는 선형대수와 관련된 개념이 정말 많이 나온다. 그리고 이번에는 Norm(노름)의 함수인 norm이 나왔는데, norm이 무엇인가 검색해보니 벡터, 행렬 또는 신호 등의 길이, 크기 등을 정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라 정의되어있다. 물론 이 정의만 보고 내가 이것을 이해할 턱이 없었다. 그래서 조금 더 자세히 찾아보고 이해하기 위해 오늘의 포스팅을 작성해본다. Norm의 정의Norm은 벡터나 행렬의 크기를 수학적으로 정의한 것 단순한 길이(length)라고만 생각하기보다는, 수학에서 상황에 맞게 여러가지 방식으로 '크기'를 정의할 수 있는 것 유클리드 거리(일반적인 직선 거리)최대값 크기신호의 에너지 → 이런 여러 상황들을 통일된 수학적 언어로 다룰 수 있도록 Norm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둔 ..

singular matrix 에러 그리고 역행렬

1. 역행렬이 왜 그럴까 매트랩을 공부하며 실습 예제를 따라하고 있던 와중, 한 에러를 마주하게 되었다. a=[1 3 5; 2 4 6; 7 8 9] p = a*inv(a) Warning : Matrix is singular to working precision: 찾아보니 계산하려는 행렬이 역행렬을 가지고 있지 않은 특이행렬(singular)이었기에 발생한 문제다. 사실 이 에러는 기존의 행렬 a의 값이 a = [1 3 5 ; 2 4 6 ; 7 8 10]인데 반해, 오타가 있었기에 발생한 에러다. 그러나 왜 같은 행렬인데 이 행렬은 inverse가 가능하고, 내가 오타로 낸 저 행렬은 역행렬이 불가능한지, 특이행렬(singular)이 무엇인지, 역행렬의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2..

[Linux] 파일과 디렉터리

리눅스에서는 모든것이 파일이다. 파일 리눅스에서는 모든 자원을 파일로 표현 하드웨어 접근, 설정, 데이터 저장 모두 '파일'을 통해 처리 일반 파일(텍스트, 실행파일)디렉터리장치(하드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소켓, 파이프 등 통신 채널 파일의 분류 저장된 데이터가 사람이 읽을 수 있는가? 텍스트 파일 텍스트(문자)만 저장된 파일 텍스트 에디터(메모장, vi, nano) 를 통해 열람과 편집 가능 바이너리 파일 : binary,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문자와 숫자가 저장된 파일텍스트 에디터를 통해 열람, 편집할 수 없음 * .doc파일도 텍스트 에디터를 통해 열람할 수 없다.전용 프로그램인 word를 통해서만 열람할 수 있다. 디렉터리리눅스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폴더 루트 디렉터리 / 부..

[OS] 커널과 쉘

커널은 OS 그 자체,쉘은 커널이 HW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어 사용자의 명령어를 직접적으로 해석할 수 없으므로 이 사용자의 명령을 커널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 ( = 명령어 해석기 프로그램)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인력으로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관리하는 작업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인간과 언어 체계가 달라서 우리가 말하는 명령어를 이해하지 못하기에 쉘이 우리(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해서 커널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전달한다.그럼 커널은 그 요청을 맞게 실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다시 쉘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커널은 공장장(유일무이한기술자) 쉘은 통역가(여러 명, 말투·습관·기능이 조금씩 다름) 사용자 = 주문하는 사람 커널 OS의 핵심 CPU, 메모리, 디스크, ..

[Linux] 리눅스에 익숙해지기

리눅스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널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우분투(Ubuntu), 센트OS(CentOS)같은 것은 리눅스 커널 + 다양한 유틸리티를 묶어 배포한 리눅스 배포판이다. 리눅스는 대부분 사용자 간의 공유가 필요한 공용 시스템, 회사에서 주로 쓰인다. 개인 PC보다 서버에서 작업하는 것이 좋은 상황에서는 서버에 적합한 Linux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인들이 한 개의 서버를 통해 각각의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SSH터미널, SSH파일 전송 기법이 발달하였다. *SSH : 원격 접속 보안 프로토콜 서버 운영체제로 적합한 리눅스지만 사실 MacOS, Windows와 같은 OS의 한 종류인데 CLI(Command Line Interface)가 사용자들에게 다소 낯설게 느껴진다. 리눅스의 ..

[Linux] 리눅스 배우기

0장 | 리눅스 개요 OS 역할 CUI vs GUI UNIZLinux가 뭐임 BSD 개념 UNIX에 관헤 가상환경 사용법 익히기VirtualBoxCentOS Ubuntu 1장 | 리눅스 초급 key point명령에 의한 조작 로그인과 로그아웃 커널과 쉘 여러가지 쉘 파일 디렉토리경로와 확장자파일 시스템 2장 | 기본적인 제어 명령경로 작성법 기본 명령어 모음 3장 | 에디터 다루기 텍스트 에디터vi 실행과 종료 vi 모드 변경 vi 기본 조작 검색과 바꾸기 저장과 종료 4장 | 리눅스 중급 표준 입력과 표준 출력 리다이렉트파이프파일 관련 명령어 모음 메모리와 디스크 명령 사용자 관련 명령 권한 쉘 스크립트멀티 태스크와 프로세스 제어 5장 | 시스템 & 사용자 관리 시스템 관리자 네트워크 명령 네..

[Linux] txt 파일 생성/수정/삭제

txt 파일 생성하는 방법 ① touch 명령어 사용 touch memo.txt없으면 새로 생성, 있으면 수정 시간 갱신 ② 리다이렉트 사용 cat > memo.txt내용 작성 후 Crtl + D ③ 편집기 사용 vi memo.txt내용 작성 후 esc + :wq txt 파일에 내용 추가 하는 방법 ① 리다이렉트 사용 cat >> memo.txt 이어쓰기 - 내용 추가 ② 편집기 사용 vi memo.txt i → 입력 모드 내용 수정 Esc → :wq → 저장 종료 txt 파일 내용 삭제 파일 내용만 지우고 파일은 유지 > memo.txtOr : > memo.txt 파일 삭제 rm memo.txt

텍스트 편집기 VIM, 단축키 요약표

vi (또는 vim) 이란? 리눅스/유닉스에서 쓰이는 텍스트 편집기 C Shell, Bash, Z Shell 등 모든 쉘 환경에서 사용 가능 vi ~/.cshrcvi의 3가지 모드 모드역할진입 방법일반모드복사, 붙여넣기, 삭제 등 수행 vi 실행 시 기본 모드입력 모드실제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드 i , a , o 중 하나 누르기 명령 모드저장, 종료 등 명령 입력 Esc 누른 후 : 로 시작 자주 쓰는 단축키 요약표 입력 관련 모드 키설명 i 커서 앞에 입력 시작 a 커서 뒤에 입력 시작 o 새 줄 아래에 입력 시작 Esc 입력 모드 종료 (일반 모드로 돌아가기) 명령 모드 관련 ( : 부터 시작)키설명 :w 저장 (write) :q 종료 (quit) :wq 저장 후 종료 :q! 저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