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rseWork
-
[리눅스] 디렉터리CourseWork/OS(운영체제) 2025. 8. 7. 14:13
Windows의 폴더에 해당하는 리눅스 디렉터리 디렉터리의 구조 Linux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장소의 단위는 디렉터리 디렉터리는 트리구조(계층 구조) 루트 디렉터리 (모든 디렉터리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디렉터리, 디렉터리 명 입력 X )ㄴ 상위 디렉토리 (하나 위의 디렉터리) ㄴ 커런트 디렉토리(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 ㄴ 하위 디렉토리(하나 아래의 디렉터리)홈 디렉터리 : 로그인 사용자 계정의 시작점이 되는 장소, 일반적으로 사용자명과 같게 한다. 리눅스 주요 디렉터리 /bin : *바이너리 형식의 실행파일이나 명령이 보관/dev : 디바이스 관련 파일 보관 /etc : 각종 설정 파일 등 다양한 파일이 보관 /lib : 사용자 간의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이 저장/ro..
-
[리눅스] 리눅스가 뭐임CourseWork/OS(운영체제) 2025. 8. 7. 11:50
대부분의 회사, 특히 SW, 기계 관련 회사는 LINUX를 자주 사용한다. 그런데 도대체 리눅스가 뭐야 ? 유닉스를 기반으로 리누스 토르발즈가 개발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커널 OS의 한 종류, 컴퓨터를 작동하게 만드는 '기반 시스템'* 커널 :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이어주는 중개자이자 자원관리자 그런데 왜 이미 잘 쓰고 있는 macOS, Window 안쓰고 리눅스 씀 ?무료다 (오픈소스) 누구나 무료로 사용 가능 소스코드도 공개되어 있어 직접 수정해 커스터마이징 가능 안정성 + 보안성 서버나 해커들이 많이 쓰는 리눅스 윈도우보다 바이러스도 적음 다양한 배포판(버전)이 많음 우분투(Ubuntu), 데비안(Debian), 페도라(Fedora), 칼리 리눅스(Kali Linux)등등 상황에 맞게 배포판..
-
[OS] macOS 주요 디렉토리 구조CourseWork/OS(운영체제) 2025. 6. 16. 19:58
Mac 디렉토리 구조 특징 UNIX 철학 : 모든 것이 파일로 취급됨(디바이스, 프로세스까지) 루트(/) : 아래 핵심 시스템 폴더, 사용자 폴더, 소프트웨어 설치 폴더가 구분 System Integrity Protection(SIP): /System, /usr (일부)는 macOS가 보호하고 있음, 변경 불가 /├── Applications/ 애플리케이션 (.app) 이 설치되는 폴더├── Library/ 시스템 설정, 서포트 파일, 글로벌 리소스├── System/ macOS 자체 핵심 시스템 파일 (macOS Big Sur 이후 Read-only)├── Users/ 사용자 홈 디렉토리 모음 (개인 파일 저장)├── Volumes/ ..
-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4. Network Layer (2)CourseWork/네트워크 2023. 5. 12. 19:19
virtual circuit and datagram networks connection, connection-less service 데이터그램 네트워크 → connectionless service virtual-circuit network → connection service Network layer vs Transport layer (ex: Internet) Network layer vs Transport layer Host-to-host Service Process-to process Only one Choice(인터넷 프로토콜) Connection(TCP) and Connectionless(UDP) End-system and NW Core Implementation End-system Only Ab..
-
[운영체제/OS] L18. CPU Scheduling (2)CourseWork/OS(운영체제) 2023. 5. 12. 17:06
Shortest-Remaing-Time (SRT) : SRT는 SJF의 preemptive버전 Policy 가장 작은 다음 CPU burst를 가지는 프로세스를 고르고, 그 프로세스를 preemptive 하게 돌린다 .. termination or block할 때 까지, 또는 → 프로세스가 레디큐에 들어갈 때 까지(새로운 프로세스나 이전에 block된 프로세스) 이 시점에서 예상된 CPU burst 시간이 현재 CPU burst의 시간보다 작을 경우 실행할 다른 프로세스를 선택함 SRT Example ❓ Q. 수행도중 남은 잔여시간이 작은 프로세스에 CPU할당 , 실행하다가 멈추고 .. 이런건가 .. ? → ㅇㅇ 이론으로, 존재 실제로 존재한다면 오버헤드가 엄청날 것 … Q. SRT에서 스케쥴러가 잔여시..
-
[운영체제/OS] L17. CPU Scheduling (1)CourseWork/OS(운영체제) 2023. 5. 11. 17:13
CPU Scheduling Goals CPU scheduler must decide: 프로세스 실행 시간 프로세스들이 실행될 순서 User-oriented schdeuling policy goals : 유저관점에서 스케쥴링의 평가(기준) 평균 반응시간 (프로세스 실행시키고 첫번째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반면 interactive한 유저가 적절한 응답을 받는 수를 최대화한다. trunaround time(프로세스 시작 ~ 종료까지, execution time + waiting time) 최소화함 평균 응답 시간의 편차 최소화 예측가능성은 중요함 .. 프로세스는 어떤 시스템에 load 되었는지 상관없이 항상 (대략적으로) 같은 시간동안 실행되어야한다. System-oriented s..
-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4. Network Layer (1)CourseWork/네트워크 2023. 5. 8. 21:57
Intro Application Layer, Transport Layer을 배우고나서 Network Layer까지 왔다 ! 이 챕터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있는 원리들을 배울 것이다. 바로 data plane과 control plane: - 네트워크 레이어와 서비스모델 - 포워딩 (forwardong) vs 라우팅(routing) - router가 작동하는 방법 - Generalized forwarding - SDN controllers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ICMP) - 네트워크 관리 Instantitaion, implementation in the Internet : 인터넷에서의 구현, 실체화 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 -sending hos..
-
[컴퓨터 네트워크] 3.4 (1) principles of reliable data transferCourseWork/네트워크 2023. 4. 24. 20:48
Transport layer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end-to-end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럼 데이터를 어떻게 reliable하게 보낼까 ?에 관한 고민이 담긴 것이 바로 이 챕터이다. 3.4는 아주아주 .. 방대하고 ... 어렵고 양이 많은 챕터이다 (학생인 나는 죽어난다 ㅜㅜ ~ ) 조금 더 자세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천천히 다루어보겠다 ! 1. principles of reliable data transfer application layer입장에서는 보내기만 하면 reliable이 보장 된다고 생각한다. → transport layer에서는 reliable을 보장해주어야한다. (3장 포스팅마다 쓰는 것 같다 .. )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통신 채널의 신뢰성 여..